
Death Valley (데스밸리) 라는
표현을 들어보셨나요?
"죽음의 계곡"
3년 - 7년 정도의 스타트업이
자금 확보나 사업화 과정에서
어려움을 겪는 시기를
표현한 용어입니다
어려움이 발생하는
원인과 해결책은
매우 다양하기에
저는 이 시기를
리더십 관점에서
살펴보겠습니다
먼저
공자는 정명사상을 통해
올바른 명분을 통한
정치를 강조했죠
그만큼 그 일을 하는
이유가 중요하다는 거죠
조직에 관점에서는
비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
공유된 비전은 조직이 힘든 시기에
뻗어나갈 수 있는 힘이 됩니다
따라서
리더는 조직원이 이에
공감하게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
만약 비전이 조직원들과
공유되지 않는다면
회사는 개개인의 사심을
채우기 위한 모임으로
전락하게 되며
이때는
조직원의 업무몰입도가
상당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
둘째
권력에 대한 경계입니다
회사의 인원이 늘어나면
조직은 비대해지고
권력이라는 씨앗이
싹을 틔우게 됩니다
권력은 한 번 잡으면
영원히 잡고 싶고
자그마한 권력을 가지면
더 큰 권력을 가지려는
속성이 있기에
조직 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
조직의 유연한 문화를
방해하는 행동은
항상 경계되어야 합니다
특히 과거의 헌신과 노력을 뿌리삼아서
본인의 생각과 주관을 관철하고
조직 내 다양한 생각이 싹트지
못하게 한다면
문제가 심각해 질 수 있습니다
셋째, 매사에 신중한 태도
초기 스타트업은
리더의
능력 못지 않게 태도가 승패를
좌우할 정도로 중요합니다
이 말의 뜻은
리더의 행동은
경중을 떠나서 항상
회사를 위한
공적행위여야 한다는
의미입니다
리더가 회사를 소유한다는 생각에
사적행위를 하게 되면
리더와 조직원 사이에
신뢰도가 떨어지게 됩니다
최근에 온라인상에서
회사 대표가
투자를 받은 이후에
술 먹고 출근한다는 글을
보아서 그런지 더욱
와닿는 부분이네요
오늘은 과거를 통해서
리더십에 대한 생각을
정리해 보았습니다
우리 회사 리더의
리더십은 어떤가요?
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
이 글은 "리더라면 정조처럼_김준혁 지음" 책을 읽고
생각을 정리하여 작성한 글 입니다
'조직문화 고민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훌륭한 리더십의 정의 - 권력의 속성을 이해하라! (2) | 2021.04.07 |
---|---|
직장 내 회의문화 개선 방법 - 사회적 증거를 만들어라! (8) | 2021.03.14 |
자포스(The Zappos) 에 대하여 생각하다 (5) | 2020.12.10 |
기업이 직원을 바라보는 바람직한 관점 - 회사를 위한 선택을 한다고 믿어라! (8) | 2020.12.07 |
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은 무엇인가 - 인재전쟁에서 살아남자! (11) | 2020.12.05 |